아마존 웹 서비스(AWS)로 시작하는 데브옵스 (AWS DevOps Discovery Book)
AWS를 활용한 빠르고 효과적인 데브옵스 활용법 ( 25,000원 )
권영환 저 | 정보문화사 | 2020년 06월 30일리뷰 총점9.4 정보 더 보기/감추기 회원리뷰(15건) | 판매지수 2,244 판매지수란? 베스트 프로그래밍 언어 top100 6주
아마존 웹 서비스(AWS)로 시작하는 데브옵스 (AWS DevOps Discovery Book)
클라우드, AWS를 커리어로 삼고 싶다면?『아마존 웹 서비스(AWS)로 시작하는 데브옵스 (AWS DevOps Discovery Book)』는 아마존 웹 서비스(Amazon Web Services)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및 데브옵스(De
www.yes24.com
2-1. AWS Cloudformation
2-2. AWS WorkOps
2-3. AWS Lambda
2-4. AWS CloudWatch
1. AWS Lambda? -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
서버를 프로비저닝 하거나 관리하지 않아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퓨팅 서비스.
클라우드 기반의 서버가 없는 환경에서 웹서비스, 데이터 분석, 인프라 운영/관리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서버리스 아키텍쳐가 도입되었다.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에서 구동되지만 고객 스스로가 관리해야 할 서버 혹은 컨테이너 서비스가 없기에 서버리스(serverless) 라 불리운다.
필요 시에만 코드를 실행하며, 요청을 수십개에서 수천개 까지 자동으로 확장 가능하다. 이를 통해 컴퓨팅 사용 시간에 대해서만 요금을 지불하도록 해준다.
-
특징
-
기존 코드 활용 가능(Ja va, Python... etc)
-
단순 자원 모델을 가지며 실행되는 메모리에 따라 CPU 자원 할당
-
여러 AWS 서비스와 통합되어 있음
-
CloudWatch등을 통해 요청, 에러, 처리 시간, 처리량의 모니터링이 가능
-
-
서비스 동작 방식
-
이벤트 소스로부터 함수 실행에 대한 트리거 발생
-
Lambda함수를 다양한 런타임과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개발
-
AWS 리소스에 접근 가능하도록 권한을 설정
-
AWS 서비스와 연결 및 연동을 통한 서비스 개발
-
-
기대효과
-
완전 관리형 서비스
-
가용성이 뛰어나며 내결함성을 갖춘 인프라에서 코드 실행
-
OS 패치나 사용량 증가에 따른 서버 증설이나 관리가 불필요
-
코드를 원활하게 배포하고 내장된 로깅/모니터링 기능 제공
-
-
기존 보유 코드 재활용
-
통합된 보안 모델
-
사용량 기반 지불
-
높은 내결합성
-
자동 스케일 조정 : 이벤트 발생 빈도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높은 성능 유지
-
2. AWS Lambda 생성
-
서비스의 Lambda 항목으로 이동하여 함수를 생성한다.
-
함수 생성 페이지에서 함수명과 언어를 선택한다.
-
함수 생성이 완료되면 테스트 버튼을 통해 실행한다.
-
이벤트명을 입력하고 생성버튼을 누른다
-
함수 코드 페이지에서 샘플로 작성된 python code를 확인하고 테스트 버튼을 눌러 실행한다. 이후 하단의 execution results에서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-
이후 상단의 CloudWatch 링크를 이용하여 함수 실행 지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.